티스토리 뷰

매운 새우깡을 먹은 갈매기는 매운맛을 느낄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매운새우깡을 먹은 갈매기는 매운맛을 느낄까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유람선을 타거나 바닷가에 가서 갈매기에게 주기 위해 새우깡을 챙겨 가시는 분들도 꽤 있을 거라 생각이 들어요. 손에 새우깡을 들고 있으면 갈매기가 와서 먹는 것이 하나의 정례 코스로 아예 새우깡을 따로 판매하기도 해요.

 

이러한 행위는 갈매기 상태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므로 하지 말아야 하는데 인간의 재미만을 위하여 어떠한 제재 없이 이루어지고 있어요. 왜 하필 새우깡을 갈매기 먹이로 주는지는 알 수 없으나 가격이 저렴하고 단순하게 새우 맛이 나서 선택된 것으로 보여요.

 

근데 이 새우깡에는 여러분들도 알다시피 2가지 맛이 있죠. 하나는 맛이 심심하고 다른 하나는 맛이 매콤한 편이죠. 개인적으로 저는 매운새우깡을 좋아하는데 갈매기에게 매운새우깡을 주면 과연 갈매기도 매운맛을 느낄 수 있을까요?

 

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조류는 캡사이신 수용체의 구조가 포유류와 조금 달라서 매운맛에 둔감해요. 단순한 결론으로 보이지만 이 결론에는 꽤 흥미로운 내용이 있어요. 매운맛을 내는 화학물질은 캡사이신입니다.

 

우리가 캡사이신을 먹으면 고온을 감지하는 온도 센서인 TRPV1이 활성화되고 매운맛을 느끼게 해줘요. 이와 관련하여 1997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세포, 분자약학과 데이비드 줄리우스 교수팀이 TRPV1이 없는 생쥐를 만들어서 실험을 진행하고 네이처에 발표했던 논문이 있었어요.

 

실험 내용은 간단해요. 물에 캡사이신을 타서 대조군 생쥐와 실험군 생쥐에 줬는데 대조군 생쥐는 한 번 마시고 다시는 마시지 않았고 실험군 생쥐는 맹물을 마시듯이 잘 마셨어요.

또한 꼬리를 뜨거운 물에 넣었을 때 대조군 생쥐는 금방 빼지만 실험군 생쥐는 반응이 훨씬 느렸어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쥐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TRPV1과 비슷한 유전자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TRPV1은 42도 이상일 때 TRPV2는 52도 이상일 때, TRPV3는 33도 이상일 때, TRPV4는 27~42도에서 채널이 열린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어요.

 

우리가 42도 이상의 뜨거운 물에서 통증을 느끼듯이 캡사이신을 먹을 때도 TRPV1 채널이 열려 통증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에요. 그렇다면 왜 캡사이신은 이러한 작용을 보이는 걸까요? 캡사이신은 식물이 자신을 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만든 화학물질입니다. 만약 매운맛을 내지 못한다면 누구나 섭취할 수 있으므로 종자 번식이 힘들어져요. 특히 고추 등은 씨앗이 약해서 씹으면 씨앗이 파괴되어 대변으로 배출하였을 때 번식할 수 없게 돼요.

 

그래서 만든 것이 바로 캡사이신이고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가 먹었을 때 매운맛이 나게 해서 먹지 않도록 했어요. 하지만 조류에게는 반응이 덜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류를 번식의 수단으로 이용했어요. 이와 관련한 내용은 노던 애리조나대학 연구팀이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 내용으로 자세한 설명은 Herald에서 정리한 글을 참고하시길 바래요.

 

어쟀든 이러한 이유들로 조류는 매운맛에 둔감해요. 근데 인류 때문에 조금 문제가 생겼어요. 인류는 그냥 먹으면 매운 고추를 양념 등으로 활용하거나 희석해 먹는 방법을 찾았고 매운맛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진화의 목적이 변질되었어요. 그나마 인류는 인류가 먹기 위해 종자 번식을 시키므로 또다른 종자 번식의 전략을 찾은 것으로 볼 수도 있으므로 다행이라고 봐야 할지 모르겠군요.

지금까지 매운새우깡을 먹은 갈매기는 매운맛을 느낄까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