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출산 예정일 계산하는 법 쉽게 설명해드려요.

태아에게 이상이 있거나 혹은 쌍둥이 임신일 경우 등 임신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여럿 있지만 평균적인 임신 기간은 279~281일 40주 정도라고 해요. 보통 수정란이 착상한 날을 시작일로 봅니다. 출산 예정일 계산하는 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자가 계산법

마지막 생리일+280일

수정부터 출산까지의 기간은 평균적으로 266일입니다. 임신 최초의 순간은 난자와 정자가 만나서 수정한 날 혹은 착상한 날로 봐야 해요. 하지만 그날을 정확하게 체크할 수 없으므로 생리를 시작한 지 2주일 후 수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여겨요.

 

그리고 마지막 생리를 시작한 날로부터 280일 이후를 우리는 출산 예정일로 계산해요. 마지막 생리 시작일부터 배란까지 14일, 배란부터 다음 생리 시작일까지가 14일인 생리 주기 28일형을 기준으로 하는 출산 예정일 계산법입니다.

 

생리 주기가 25일이라면 28일형에서 3일은 뺀 277일 후이고, 생리 주기가 35일형인 사람은 7일을 더한 287일 후가 자신의 출산 예정일이 돼요. 그러나 정상적으로 임신을 해도 예정일이 2주가 지나도록 진통이 없는 지연 출산도 전체 임신의 10%에 달한다고 해요.

네겔식 계산법

마지막 생리 달수에서 3을 빼거나 혹은 뺄 수 없는 때은 9를 더하고 마지막 생리를 시작한 날짜에 7을 더하면 돼요.

기초체온 곡선 확인법

기초체온이란 3시간 이상 숙면을 취하고 잠을 깬 후 곧바로 측정한 체온을 말해요. 일반적으로 배란하기 전에는 체온이 36.3~36.6도를 유지하다가 배란 후에는 36.8~37도로 올라가게 돼요.

 

배란 후 임신이 되지 않는다면 생리가 시작되면서 체온이 다시 떨어지고 임신이 되면 출산 때까지 계속 고온기를 유지하게 돼요. 고온기 때 평균 체온과 저온기 때 평균 체온의 차이는 0.55도 정도이며 3~4개월간 꾸준하게 측정해야 정확히 알 수 있으므로 평소 기초체온을 재어 기록해 두는 것이 좋아요.

 

단, 경구 피임약을 복용할 경우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없어요. 그렇기에 이 부분은 주의하셔야 해요. 체온이 저온을 나타내는 기간 중 마지막 날을 배란일로 생각하고 여기에 38주를 더하여 출산 예정일을 산출하면 돼요. 하지만 배란일에 꼭 임신이 되는 것은 아니에요. 병원에서 산출하는 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기초초엔 곡선 보는 법

36.7도를 기준으로 보면 배란과 동시에 체온이 상승하여 기준선을 넘어간다. 배란 이후 상승한 체온은 약 2주일 동안 지속되며 생리가 시작되면 다시 저온기로 내려가고 이후 그보다 더 낮은 저온기가 된다.

 

기초체온 곡선의 상승점은 배란 시기이고 하강점은 생리 시작일과 일치한다. 배란이 되고 2주간 고온기가 지속되다가 수정이 된 후 고온이 유지되고 생리가 시작되면 체온이 내려가 저온기가 된다. 고온기는 대개 14일 정도입니다.

 

저온기는 생리 주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납니다. 저온기가 되어도 생리를 시작하지 않는다면 호르몬 균형이 무너졌다고 봐요. 자궁 이상일 수도 있으므로 병원에서 꼭 진료를 받도록 해요. 고온기와 저온기의 구분이 분명하지 않으면 무배란이므로 검진을 받아야 해요.

병원 계산법

초음파로 알 수 있다

임신 5주부터는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임신여부 및 태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요. 머리끝부터 엉덩이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수정된 날짜를 산출해내는 방법이 일반적입니다.

 

각 개월에 알맞은 태아 성장의 평균치와 비교하여 출산 예정일을 유추하는 것이죠. 이 방법은 주로 임신부가 마지막 생리 날짜를 모를 경우 혹은 생리 주기가 불규칙한 경우에 사용해요.

 

단, 임신 12주가 넘어가면 태아마다 성장 발달에 차이를 보이고 신체 일부분으로만 태아를 확인할 수 없기에 출산 예정일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워요. 또한, 담당 의사에 따라 초음파 사진에 대한 판독이 다를 수 있어요.

 

그러므로 병원에서 초음파 검사를 했다 하더라도 출산 예정일은 일주일 정도 오차가 있을 수 있어요.

자궁저 높이를 잰다

태아가 있는 자궁의 크기로 출산 예정일 계산하는 법이다. 마지막 생리 날짜가 확실하지 않을 때 보통 사용하며, 여기서 자궁저 높이란 골반 앞쪽 아래에 있는 치골부터 자궁의 가장 높은 곳까지의 길이입니다.

 

임신 20~31주의 경우에는 특별히 비만이거나 저체중인 임신부를 제외하곤 자궁저 높이가 임신 주 수와 거으 일치해요.

 

즉, 임신 21주면 자궁저 높이는 21cm로 과거에는 태아의 발달 상태를 파악하는 데 많이 이용하였어요. 자궁 저가 가장 높을 땐 임신 9개월 무렵입니다. 만삭일 때는 오히려 태아가 밑으로 내려와 그 높이가 낮아지게 돼요.

 

보통 자궁저 높이만으로 출산 예정일을 산출하진 않으며 초음파 검사나 태동 상태 등을 종합해 산출해요. 

 

정상 출산의 범위

출산 예정일은 정확하지 않다

다양한 방법으로 출산 예정일을 계산하였어도 그날에 지나치게 구애받을 필요는 없어요. 80% 이상이 임신부가 출산 예정일보다 일주일 빠르거나 혹은 늦게 출산한다.

 

초산부는 예정일보다 빨리 낳는 것이 보통이다. 출산 예정일을 체크하고 임신부가 그 단계에 맞는 임신 생활을 하도록 돕는 데 있다.

출산 예정일 전후 5주간은 정상 출산, 그러나 지연 임신은 위험해요.

출산 예정일을 기준으로 3주 전에서 2주 후인 5주 동안의 출산은 정상 출산 범위에 속해요. 그러므로 날짜에 지나치게 짐작할 필요성이 있어요  하지만 출산이 너무 지체되는 지연 임신이 되지 않도록 더 주의해야 해요.

 

태아는 임신 막달까지도 계속해서 자라며 특히 출산이 적은 며칠 동안 급속히 성장하영어요. 게다가 예정일을 넘긴 태아는 태변을 더 많이 보는데 태아를 감싸고 있는 양수는 점차 줄어들기 때문에 자궁 내 환경이 악화돼요.

 

이와 함께 태반 기능이 약화되어 산소와 영양분 공급이 원활하지 못한데 이 상태가 지속된다면 결국 태아가 위험해질 수 있어요. 임신 후기에 별 이유 없이 임신중독증이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꼭 조심하셔야 해요.

 

추가적으로 출산을 앞당겨야 하는 경우에 대해 말씀드리고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임신부나 태아의 건강이 나빠져 분만을 앞당기는 경우도 있어요. 임신부가 중증의 당뇨병에 걸렸거나 혹은 임신중독증, 조기진통, 양막 파수 등의 증세를 보여 모체와 태아 모두 위험하다고 판단될 때 입니다.

 

또한 지나치게 골반이 좁아 자연분만이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에도 날짜를 앞당겨 제왕 절개해요.

 

지금까지 출산 예정일 계산하는 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