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물고기들이 무리지어 다니는 이유
안녕하세요. 지금부터 물고기들이 무리지어 다니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물고기들이 글의 제목과 같이 무리를 짓는 것은 아니고 연구자료에 따르면 약 80% 정도의 물고기 종류가 무리를 짓는다고 해요.
이러한 모습은 육상동물에서도 관찰할 수 있는데 물고기는 비교적 지능이 낮으므로 생각을 하고 무리를 짓기보다는 본능에 따라 무리를 짓는다고 해요.
그들이 본능적으로 무리를 짓는 이유는 생존에서 여러가지 장점이 있기 때문이라고 해요. 일단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어요. 물고기도 육상동물과 마찬가지로 서로 잡아먹고, 잡아먹히는 생활사를 보여요. 근데 일반적으로 물고기는 자기보다 덩치가 큰 물고기에게는 잘 덤비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조그마한 물고기들이 서로 뭉쳐서 하나의 큰 물고기처럼 보이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포식자로부터의 습격에 방어할 수 있고 포식자가 눈치채고 접근한다고 하더라도 흩어지면 비교적 생존율이 높아져요.
영국의 생물학자 윌리엄 헤밀턴이 1971년 발표한 '이기적인 무리의 기하학'이라는 논문 자료에 따르면 물고기들이 이렇게 무리 짓는 행동은 이기적인 행동이라고 주장합니다.
잘 생각해보면 물고기들이 무리를 지었을 때 가장 안전한 위치는 바로 중앙입니다.
그렇다면 위험한 위치는 어디일까요? 당연히 포식자로부터 가장 공격을 당하기 쉬운 외곽에 있는 물고기들이죠.
근데 포식자가 한 번의 공격으로 모든 물고기를 잡을 수 없으므로 공격에 흩어지는 물고기 중 일부는 살아서 도망갈 수 있어요.
이는 소수의 희생으로 자신이 살 수 있는 생존방식입니다. 그러므로 물고기 무리에서 외곽에 있는 물고기들은 자신의 생존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 중앙으로 계속 파고들려고 하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이기적인 행동들이 매우 밀집한 물고기 무리를 형성해줍니다.
추가적으로 무리를 지어 다니면 번식에서도 장점이 있어요. 어류는 주로 체외 수정을 하는데 이는 수정 확률이 낮고 수정에 성공하더라도 생존 확률이 상당히 낮은 번식 방법이에요.
그래서 한 번 수정을 시도할 때 엄청난 양의 수정을 이룹니다. 당연히 몰려다니면 수정 확률이 더 높아지죠.
하지만 무리를 짓는 습성으로 인해 대형 그물망을 이용해 한 번에 싹쓸이할 수 있는 인간을 만나면 매우 위험해요. 아무래도 인간을 제외한다면 무리를 짓는 습성은 성공 가능성이 큰 번식의 장점이 있어요.
그리고 이렇게 무리를 지어 다니게 되면 공격에서도 장점을 보여줘요. 주로 가다랑어, 전갱이, 참치, 바라쿠다 등의 어류들이 무리를 지어 공격하는데 공격 대상은 멸치 같은 작은 물고기입니다. 이들을 사냥할 때 포위하고 동시에 달려들어 성공 확률을 높여요.
그러므로 물고기들이 무리를 지어 다니는 행동은 방어와 공격, 번식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에요. 그냥 아무 생각 없이 무리를 지어 다니는 것이 아니고 그들의 본능적인 생존 전략입니다.
그리고 무리를 지어 다니는 물고기의 모습을 보면 굉장히 웅장해요. 그래서 우리는 이러한 모습을 보기 위해 아쿠아리움을 방문하기도 하는데 무리를 지어 다니는 모습을 잘 관찰해보면 물고기들은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게 아니라 방향을 자유자재로 움직여요.
누가 지휘하는 것도 아니면서 어떻게 무리를 지은 물고기들이 똑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지 궁금하지 않으세요?
이것은 물고기에게 존재하는 감각기관인 옆줄 덕분입니다. 옆줄은 물고기 몸통의 양옆에 있고 이 옆줄이 물의 미세한 움직임과 진동을 감지해주어서 자신의 옆에 있는 물고기가 어디로 이동할 것인지 느낄 수 있다고 해요.
그래서 무리를 지어 다녀도 서로 부딪히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할 수 있어요.
지금까지 물고기들이 무리지어 다니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잡학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 바퀴가 역회전 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 (0) | 2020.07.28 |
---|---|
모기는 비에 맞으면 죽을까 아니면 어떻게 될까 (0) | 2020.07.27 |
달리기 할 때 옆구리가 아픈 이유 (0) | 2020.07.15 |
달리는 버스나 지하철에서 점프하면 어떻게 될까요? (1) | 2020.07.13 |
매운새우깡을 먹은 갈매기는 매운맛을 느낄까 (1) | 2020.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