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비 내릴 때 비 올 때 나는 냄새는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지금부터 비 내릴 때 비 올 때 나는 냄새는 무엇일까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매번 비가 올 때마다 흙냄새 같기도 하고 아니면 풀냄새 같기도 한 특유의 냄새가 나곤 해요.
많은 분들이 이 냄새를 비 냄새라고 칭하는데 정말 비에서 나는 냄새일까요? 옛날 사람들도 비가 올 때 나는 냄새의 정체에 관해서 많이 궁금해하였어요. 하지만 그 누구도 이유에 대해 몰랐습니다.
근데 1964년 흥미로운 주장이 나오게 돼요. 호주 연방과학원의 연구원인 이자벨 베어와 리처드 토마스가 비 냄새와 관련하여 국제 과학 학술지에 발표한 내용입니다.
그들은 비 내릴 때 혹은 비 올 때 나는 비냄새를 바로 페트리 코라고 칭했어요. 페트리 코는 바위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페트리와 신의 혈관 속을 흐른 액체를 뜻하는 리코의 합성어라고 해요.
이러한 이름을 붙인 이유는 비 냄새가 이 바위틈에서 발생한 것으로 여겼기 때문이에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해보자면 동물과 식물이 죽은 다음에 흙이나 바위틈에 묻히고 이것이 분해되어 생긴 유기물이 그 틈으로 들어가서 기름을 만든다고 해요.
비가 올 때 틈 사이에 있던 기름이 우리가 맡는 비 냄새의 원인이라고 주장하였어요.
추가적으로 토양 속에 있는 방선 균류가 방출한 지오스민도 비 냄새의 원인이라고 하는데 냄새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이야기가 나왔으나 어떤 식으로 사람의 후각까지 전달하는지는 설명하지 못하였어요.
그러다가 2015년 1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기계공학과의 정영수 박사와 켈런 뷰티 교수가 그 원리를 밝혀냈어요.
그들이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공동저자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냄새가 퍼질 수 있는 이유는 에어로졸 덕분이라고 해요.
에어로졸은 연기나 안개처럼 기체를 분산매로 하고 고체나 액체 미립자를 분산질로 하여 부유하고 있는 상태의 총칭을 말해요.
그러니까 빗방울이 땅에 떨어지는 순간에 빗속에 작은 거품이 생기고 거품이 점점 커지면서 위로 뜰 때 냄새의 원인 물질과 함께 뜨면서 냄새가 퍼진다는 것이에요.
그들이 실험한 방법은 총 16가지 종류의 자연 흙과 12가지의 인공 흙 위에서 비가 부딪히는 현상을 고속 카메라로 촬영하는 것이었어요.
빗방울이 지면에 부딪히면서 그 위로 마치 분무기로 물을 뿌리듯이 대기 중으로 퍼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어요.
퍼질 때 페트리 코와 지오스민도 공기 중으로 함께 퍼지면서 멀리까지 냄새를 풍기는 겁니다.
다만 그들은 에어로졸이 꼭 비 냄새를 풍기는 단 하나의 원인이 아니라 지표 물질의 이동을 보여주는 예 중의 하나로 생각한다고 덧붙여주었어요.
즉, 모든 메커니즘이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라는 뜻이죠.
이렇게 지금까지 비 내릴 때 비 올 때 나는 냄새는 무엇일까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잡학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가 내릴 때 비 올 때 비가 내리면 개미집은 물에 잠길까 (0) | 2020.08.10 |
---|---|
호주 회색토끼 전쟁 (0) | 2020.07.30 |
차 바퀴가 역회전 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 (0) | 2020.07.28 |
모기는 비에 맞으면 죽을까 아니면 어떻게 될까 (0) | 2020.07.27 |
물고기들이 무리 지어 다니는 이유 (0) | 2020.07.21 |